우리는 어떤 이름으로 하나님을 고백해야 할까요?

우리는 어떤 이름으로 하나님고백해야 할까요?    

우리가 사용하는 하나님의 이름은 하나님에 관한 우리의 생각을 반영하고, 관점을 형성해줍니다. 하나님의 이름은 우리에게 하나님을 알게 도와주고,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을 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다시 말해, 우리가 고백하는 여러 하나님의 이름은 우리가 거룩하신 하나님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줍니다.

초기 성서 기자들은 하나님에 대한 이해를 표현하기 위해, 인간의 경험에서 온 ‘목자, 재판관, 바위, 빛, 전사, 요새 등’의 다양한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이사야를 보면, 하나님을 해산하는 여인(이사야 42:14)과 출산하는 여인(이사야 46 : 3-4) 그리고 사랑의 어머니(이사야 49:15)의 이미지로 설명하고 있으며, 누가는 잃은 동전을 찾은 여인으로 하나님을 묘사하고 있습니다(누가복음 15 : 8-10).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연합감리교인들은 "하나님을 남성적/여성적 은유를 포함한 다양한 성서적 이미지”로 고백하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독교인의 삶 가운데 중요한 입문의 순간인 세례와 안수라는 두 중요한 예식에서 연합감리교인은 삼위일체의 하나님을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라고 부릅니다. 우리와 우리의 세계적인 교단에 이 기준은 서로의 세례와 안수를 인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그 외 대부분의 경우에, 우리는 성서와 기독교 전통 전반에 나타난 다양한 이름으로 하나님을 부르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우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언어가 하나님을 묘사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즉, 우리의 언어로는 결코 하나님을 묘사하거나 설명할 수 없으며, 우리가 고백하는 하나님의 이름은 하나님의 속성을 암시할 뿐, 하나님의 무한하고 거룩한 신비를 완전히 표현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어떤 이름으로 하나님을 고백해야 할까요?”라는 질문에 연합감리교 목사이자 작가인 에프 벨톤 조이너는 “모세가 ‘그들이 내게 묻기를 그의 이름이 무엇이냐 하리니 내가 무엇이라고 그들에게 말하리이까’(출 3:13)라고 질문하자 하나님은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니라’(출 3 : 14)”라고 대답하셨습니다. 결국 하나님이 ‘이것은 영원한 나의 이름이다(출 3 : 13-15)’라고 응답하신 것이 그 질문에 대한 답입니다.”라고 설명합니다.

 

기사는 연합감리교 공보부의 사역인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tkim@umnews.org) 또는 전화 (615-742-5109)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사회적 관심
플로리다의 임모칼레 노동조합(Coalition of Immokalee Workers, CIW)의 회원과 그들의 지지자들이 테네시주 내쉬빌에 모여 기도하고 있다. 이들은 미국의 대형 식품점 체인인 퍼블릭스가 농장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농장 가입을 거절하자 이에 항의하기 위해 모였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2024년 연합감리교회 총회에서 통과시킨 사회원칙과 노동자 권리

다가오는 2024년 9월 2일 노동절을 맞이하여, 연합감리교회 2024년 총회에서 통과시킨 사회원칙은 노동자의 권리에 대하여 뭐라고 하는지 그리고 그 역사를 살펴봅니다.
신학
사진 출처, 루이스 하인의 전국아동노동위원회 컬렉션, 미국 국회도서관.

연합감리교회 사회원칙의 유래와 새로운 2024년 사회원칙

연합감리교회 사회원칙은 전 세계적인 교단이 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2013년부터 세계 각처로부터 의견을 모아, 전 세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원칙이 되기 위해, 수정 작업을 거친 전면적 수정안이 2024년 총회에서 통과되었고, 2025년 1월부터 발효됩니다. 개정된 사회원칙 전문은 기사에 해시태그로 달아 놓았습니다.
신학
연합감리교 신학자인 요르지 리이거(Joerg Rieger)는 밴더빌트 신학대학원에서 종교, 경제 및 생태학 정의 문제를 다루는 웬들랜드-쿡(Wendland-Cook)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포스트 자본주의의 대안을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해방신학에서 찾은 신학자

밴더빌트 신학교의 요르지 리이거 교수는 포스트 자본주의 대안을 해방신학에서 찾으며, 기독교인들이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조직화하고 정치적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말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