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강절 촛불의 유래와 의미는 무엇인가요?

대강절 화환(Advent wreath)은 대강절 4주간을 기념하기 위해 독일과 북유럽의 가정 예배에서 사용하던 풍습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가족들은 저녁 식사나 저녁 기도 시간에 지나간 주와 현재의 주를 표시하기 위해 초를 밝혔는데, 이때 초의 배치는 그것이 직선이든 둥근 원이든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초의 색상 역시 특별히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럽의 가정에서는 각양각색의 초를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이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동지가 다가옴에 따라, 낮이 짧아지고 어둠이 짙어지는 만큼 초의 수를 늘려서 빛을 더하는 것이었습니다.

이후 19세기 말부터, 대강절 화환이 유럽의 일부 지역과 미국 교회의 주일 예배에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공공 예배 환경에 더 잘 어울릴 수 있도록 몇 가지가 조정되었습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의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우선, 초는 일반 가정에서 제작하거나 구매해 사용하던 “일상용 초”보다 더 크고 균일한 형태를 띠어야 했습니다. 또한 성전의 크리스마스를 위한 다른 장식들과도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균등한 색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대강절 화환에 사용되는 초는 대강절에 제단을 장식하는 천의 색상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보라색이나 파란색이 되었습니다.

가정에서 사적으로 사용하던 초가 교회와 같은 공적인 장소로 그 사용처가 변하면서, 일부 사람들의 눈에는 초가 단순히 시간을 표시하거나 빛을 증가시키는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매주 대강절의 촛불을 밝힐 때마다 행할 수 있는 특별한 예식이 만들어졌습니다.

20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 공적 예배를 위해 대강절 화환과 초 등의 교회 용품을 공급하던 사업체들은 매주 주제에 맞는 다양한 자료와 배너 그리고 주보 용지를 개발했습니다. 이때 초는 당시 통용되던 1년짜리 성서 일과표에 맞추어 사용하였는데, 그 주제는 소망, 사랑, 기쁨 그리고 평화의 순서였습니다.

오늘날엔 사람들이 1년짜리 성서일과표를 더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위와 같은 주제가 우리가 주일 예배에서 듣는 성경 구절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예외적인 한 가지는 수 세기 동안 대강절 세 번째 주일을 서방 교회에서는 가우데테(Gaudete) 주일 또는 기쁨의 주일(Joy Sunday)로 지켜왔고, 현대 교회도 이 전통을 따라 대강절 세 번째 주간(2023년은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에는 분홍색 초를 밝힙니다.

그렇다면 현대를 사는 우리는 대강절 화환과 촛불에서 어떠한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요?

“그 성은 해나 달의 비침이 쓸데없으니 이는 하나님의 영광이 비치고 어린 양이 그 등불이 되심이라(계 21:23)”라는 성경의 말씀대로, 과거 북유럽의 그리스도인들이 가정에서 빛이 증가할 것이라는 희망으로 시간을 표시하며,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다렸던 본래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습니다.

또한, 성경 그 자체에 초점을 두고 매 주일의 의미와 주제를 개발할 수도 있습니다. 다시 말해, 초와 화환은 액세서리이지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닙니다. 그것들은 과거나 현재 또는 미래에도, 세상의 참 빛이 되신 그리스도를 가리킬 때야 비로소 의미를 지니게 됩니다.

기사는 연합감리교뉴스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tkim@umnews.org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사회적 관심
플로리다의 임모칼레 노동조합(Coalition of Immokalee Workers, CIW)의 회원과 그들의 지지자들이 테네시주 내쉬빌에 모여 기도하고 있다. 이들은 미국의 대형 식품점 체인인 퍼블릭스가 농장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농장 가입을 거절하자 이에 항의하기 위해 모였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2024년 연합감리교회 총회에서 통과시킨 사회원칙과 노동자 권리

다가오는 2024년 9월 2일 노동절을 맞이하여, 연합감리교회 2024년 총회에서 통과시킨 사회원칙은 노동자의 권리에 대하여 뭐라고 하는지 그리고 그 역사를 살펴봅니다.
신학
사진 출처, 루이스 하인의 전국아동노동위원회 컬렉션, 미국 국회도서관.

연합감리교회 사회원칙의 유래와 새로운 2024년 사회원칙

연합감리교회 사회원칙은 전 세계적인 교단이 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2013년부터 세계 각처로부터 의견을 모아, 전 세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원칙이 되기 위해, 수정 작업을 거친 전면적 수정안이 2024년 총회에서 통과되었고, 2025년 1월부터 발효됩니다. 개정된 사회원칙 전문은 기사에 해시태그로 달아 놓았습니다.
개체교회
도은배 목사가 섬기는 샤나한 연합감리교회의 디지털 간판(billboard)에 6월 16일 설교 주제인 “Tattoos, Alcohol, and(문신, 술 그리고…)”라고 쓰여 있다. 사진 제공, 도은배 목사.

Ask Your Pastor 1: 가인은 어디서 아내를 찾았을까?

Ask Your Pastor라는 설교 시리즈를 진행하는 도은배 목사는 “가인은 어디서 아내를 찾았을까?”라는 교인의 질문에 답하는 설교를 통해 “하나님은 기록되지 않은, 때로는 잊혀진 수많은 여성을 통해 역사하셨습니다. 어제도 오늘도 그리고 내일도 그리하실 것입니다.”라고 말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