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한인교회 이야기

미 동부에서 최초로 세워진 우리 뉴욕한인교회의 개척과 창립은 1919년에 한국에서 불꽃처럼 타올랐던 3.1 운동과 깊은 연관이 있다. 우리 교회 70년 역사서인 <강변에 앉아서="" 울었노라="">에 따르면 1920년대에 맨해튼 타운홀에서 서재필 박사가 3.1절 대회의 의장을 맡아 기념행사를 한 후 교회 창립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고, 1921년 4월 18일에 드디어 창립예배를 드린 것이다.

다른 교회들의 일반적인 교회명과는 다르게 우리 교회 영어 이름은 ‘Korean Methodist Church & Institute’이다. 이는 뉴욕한인교회가 예수님의 몸인 성전인 동시에 뉴욕 한인사회에서 국가적, 사회적 봉사의 책무를 또한 가지고 있다는 의미에서 지어졌다. 그러한 의미에 걸맞게 뉴욕의 각종 주요 교포 사회봉사 단체들이 뉴욕한인교회에서 시작되었고, 현재 교포사회 여러 곳에서 선한 영향력을 끼쳐오고 있다. 그래서 뉴욕한인교회는 위로 하나님을 경배하고 아래로는 조국의 독립과 교포사회의 번영, 즉 신앙생활과 사회생활의 조화를 위한 활동을 병행하는 선교적인 교회로 자리매김을 해왔다. 우리 뉴욕한인교회는 이와 같은 선조들의 교회 창립 정신을 계속해서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민족해방 70주년을 맞이하는 2015년은 뉴욕한인교회에도 아주 특별한 해로 기록될 것이다. 교회건축 계획 40년째를 맞이하여 2015년 9월 12일 토요일 오후 4시에 하나님의 영광과 다음 세대의 부흥을 위한 기공식을 삼위일체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갖게 된 것이다. 교회 정문과 4층 앞면은 최대한 보존하고 나머지를 새롭게 건축하는 방식으로 재건축이 추진되며, 건축 기간은 대략 2년 정도로 계획하여 2017년 9월 재입당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새로 건축되는 건물의 대략의 전체 면적은 10000제곱피트로서 전체 소요 경비는 약 460만 불에 계약 했다. 뉴욕한인교회는 지난 7월부터 인근 114가 (601 W. 114th St.)에 위치한 브로드웨이장로교회에서 예배를 드리고 있으며, 9월에 이사를 마친 후 교회 사무실을 후러싱제일교회(김정호 목사)로 이전하였다.

뉴욕한인교회는 2021년에 100주년을 맞이하게 된다. 100주년을 바라보며 뉴욕한인교회는 교회 건축 비전을 다음과 같이 세웠다.

첫째, 100년의 믿음전통으로 민족의 지도자들을 양성했듯이, 뉴욕한인교회는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지도자들을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교회가 되기를 꿈꾼다.

둘째, 문화와 경제의 중심지인 뉴욕 맨해튼에서 뉴욕한인교회는 문화와 예술로 지역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교회가 되기를 꿈꾼다

셋째, 뉴욕한인교회는 예수그리스도가 명하신 위대한 사명과 세계 비전인 한민족의 통일 선교와 세계 선교에 소중하게 쓰임을 받는 선교적인 교회가 되기를 꿈꾼다.

뉴욕한인교회의 건축이 주안에서 성령의 능력을 힘입어 영적, 물질적인 면으로 은혜롭게 잘 마무리될 수 있도록 전국에 계신 목사님들과 성도님들께 중보기도를 부탁드린다.

주안에서,
뉴욕한인교회 이용보 목사 올림

뉴욕한인교회 교인 익명으로 100만 달러 헌금

한 교인의 의미 깊은 익명 기부가 뉴욕한인교회의 건축공사에 큰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용보 목사는 지난 10월 4일 예배시간에 이 뜻깊은 헌금에 대해 교인들에게 알리며 “1차 공사 예산 450만 달러 중 그동안의 여러분의 헌금 350만 달러에 이번 헌금 100만 달러를 더해 1차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고 감사를 표하며, 건축을 계획하며 가장 염두에 두었던 다음 세대에 빛을 남기지 말아야 한다는 우리의 뜻에 큰 보탬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익명으로 헌금한 그 가정은 헌금에 관해 3가지를 말했다고 전해진다. 첫째는 그동안 살아오면서 하나님께 받은 은혜가 너무도 큼에 감사드리는 마음으로 드리게 되었고, 두 번째로는 이 헌금을 통해 뉴욕한인교회 성도들과 다른 여러분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건축헌금에 동참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라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100여년 전에 20-30명의 성도들이 현 건물을 구입해서 거의 100여년을 현세대들이 복음을 위해서 사용되었듯이, 현 세대들의 기도와 땀, 그리고 헌신과 드림을 통해 다음 세대의 또 다른 희망이 되는 교회 건축이 되기를 소망하는 마음에서 드렸다고 한다.

이 헌신이 뉴욕한인교회의 “다음 세대를 위한 희망의 도구”가 될 교회로 더욱 나아갈 수 있는 큰 힘이 되었다고 이용보 목사는 힘주어 말했다. 기본적인 1차 건물 공사 이후 이어질 내부공사 등에 필요한 예산을 위한 건축헌금이 앞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번 헌금으로 인해 더 많은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헌금에 참여할 전망이다. 교회 건축헌금 운동은 온라인 (newyorkkoreanchurch.com/donation)으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글쓴이: 이용보 목사, 뉴욕한인교회, NY
올린날: 2015년 10월 21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개체교회
2023년 10월 시카고한인제일교회에서 열린 특별한인총회에서 참석자들이 찬양을 하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 정기 한인총회 연차대회가 5년 만에 LA에서 열린다

오는 10월 7일부터 10일까지 “다시 은혜 앞에”라는 주제로 5년 만에 첫 대면 한인총회 연차대회가 LA에서 열린다. 배움과 헌신, 쉼과 친교의 시간을 통해, 한인 교회와 교단이 본래의 존재 목적에 집중하도록 도전하고 격려하며, 사역의 방향과 목적을 새롭게 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개체교회
미국 내 교회의 평균 주일 예배 출석 인원이 100명 이하인 교회의 비율이 2000년 45%에서 2020년 70%로 증가했다. 윔즈 박사는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공유하며, 작은 교회가 가진 독특한 소명과 보다 긍정적인 미래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사진은 노인 중심의 작은 교회 모습이다. 사진 출처, 5 Ways Forward for Very Small Congregations, 루이스교회리더십센터.

작은 교회를 위한 5가지 제안

미국 내 교회의 평균 주일 예배 출석 인원이 100명 이하인 교회의 비율이 2000년 45%에서 2020년 70%로 증가했다. 윔즈 박사는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공유하며, 작은 교회가 가진 독특한 소명과 더욱 긍정적인 미래를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개체교회
도은배 목사가 섬기는 일리노이주 샤나한 연합감리교회의 디지털 간판(billboard)에 “(창세기의 인물들은) 왜 그토록 오래 살았을까?”라는 제목의 설교를 한다고 쓰여 있다. 사진 제공, 도은배 목사.

Ask Your Pastor 3: 창세기 인물들은 왜 그토록 오래 살았을까?

도은배 목사는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가르쳐 주시고 몸소 보여주신 삶은 단순히 무병장수의 인생이 아닙니다. 종말론적인 삶입니다. 하루하루를 생의 마지막으로 알고 살아가는 삶입니다.”라고 말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